책 '싯다르타' 리뷰 - 저자 헤르만 헤세
책 '싯다르타' 소개
<목차>
1부
바라문의 아들
사문들과 함께 지내다
고타마
깨달음
2부
카말라
어린애 같은 사람들 곁에서
윤회
강가에서
뱃사공
아들
옴
고빈다
- 저자
- 헤르만 헤세
- 출판
- 민음사
- 출판일
- 2002.01.20
책 '싯다르타' 주요 내용
그가 알 수 있었던 것은 단지, 자신이 자신의 예전의 삶(잠에서 깨어나 의식을 찾은 맨 처음 순간 이 예전의 삶이라는 것이 마치 멀리 떨어져 있는 옛날에 살았던 삶인 것처럼, 마치 현재의 자아의 전생인 것처럼 생각되었다)을 버리고 떠났다는 사실, 자신이 온통 구토감과 비참한 심정으로 심지어는 자신의 목숨마저 미련 없이 내던져 버리려고 하였다는 사실, 그리고 자신이 어느 강가의 야자나무 밑에서 다시 제정신이 들었으며, 성스러운 말인 옴을 입에 올리자, 깊은 잠에 곯아떨어졌다가 이제 새로운 인간으로 깨어나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는 사실 뿐이었다.
그 당시에 자기는, 자기가 카말라 앞에서 자랑스럽게 뻐겼건 세 가지 것, 그러니까 단식, 사색, 기다림이라는 세 가지 고상한 재주를 결코 누구한테도 뒤지지 않게 잘 부릴 수 있었다. (···) 그러나 이제는 그러한 재주들도 자기를 떠나가 버렸으며, 그것 중에 아무것도, 단식하는 재주도, 기다리는 재주도, 사색하는 재주도, 그 세 가지 재주 가운데 아무것도 자기에게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가장 비천한 것을 얻기 위하여, 가장 덧없는 것을 얻기 위하여, 관능적 쾌락을 얻기 위하여, 사치스러운 생활을 위하여, 부를 위하여 자기는 그 재주들을 헌신짝처럼 내팽개쳐 버렸던 것이다.
내가 얼마나 나 자신을 증오하였으며, 나 자신을 포기해 버리고, 중독시키고, 학대하였으며, 나 자신을 얼마나 늙고 사악하게 만들었던가! (···) 싯다르타가 현명하다고 자만하는 그런 착각은 절대로 하지 않으리라! 나 자신에 대하여 증오심을 품는 일을 그만둔 것이나 그 우매하고 황량하기 짝이 없는 생활에 종지부를 찍은 것, 그것은 잘한 일이었어.
이런 사제 기질 속으로, 이런 교만한 마음속으로, 이런 정신적 성향 속으로 자기의 자아가 살며시 파고들어 와서는 거기에서 단단히 자리를 잡고 앉아 무럭무럭 자라나고 있는 동안, 자기는 단식과 참회로써 그 자아를 죽이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러다가 자기는 이런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어떤 스승도 어차피 자기를 구제해 줄 수는 없을 것이라고 하였던 그 내밀한 음성이 옳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강으로부터 그는 쉴 새 없이 배웠다. 그는 강으로부터 무엇보다도 경청하는 법, 그러니까 고요한 마음으로, 기다리는 영혼, 활짝 열린 영혼으로, 격정도, 소원도, 판단도, 견해도 없이 귀 기울여 듣는 것을 배웠다.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강물은 어디에서나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 그리고 강에는 현재만이 있을 뿐, 과거라는 그림자도, 미래라는 그림자도 없다, 바로 이런 것이지요?"
"바로 그렇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배웠을 때 나는 나의 인생을 다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나의 인생도 한 줄기 강물이었습니다. (···) 아무것도 없었으며, 아무것도 없을 것입니다. 모든 것은 현존하는 것이며, 모든 것은 본질과 현재를 지니고 있습니다."
일체의 번뇌의 근원이 시간이 아니고 도대체 무어란 말인가, 자신을 괴롭히는 것도, 두려워하는 것도 그 근원은 모두 시간이 아니고 도대체 무어란 말인가. 그렇다면 인간이 그 시간이라는 것을 극복하는 즉시, 인간이 그 시간이라는 것을 없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즉시, 이 세상에 있는 모든 힘겨운 일과 모든 적대감이 제거되고 극복되는 것이 아닌가?
싯다르타가 친구 바주데바의 얼굴을 바라보았을 때 이렇게 바주데바의 미소가 밝게 빛나고 있었는데, 이제 싯다르타의 얼굴에도 이와 똑같은 미소가 밝은 빛을 내면서 피어오르고 있었다. 그의 상처에서 한창 꽃이 피어나고, 그의 고통이 빛을 발하고, 그의 자아가 그 단일성 앞으로 흘러들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누군가 구도를 할 경우에는. 그 사람의 눈은 오로지 자기가 구하는 것만을 보게 되어 아무것도 찾아낼 수 없으며 자기 내면에 아무것도 받아들일 수가 없는 결과가 생기기 쉽지요. 그도 그럴 것이 그 사람은 오로지 항상 자기가 찾고자 하는 것만을 생각하는 까닭이며, 그 사람은 하나의 목표를 갖고 있는 까닭이며, 그 사람은 그 목표에 온통 마음을 빼앗기고 있는 까닭이지요. 구한다는 것은 하나의 목표를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찾아낸다는 것은 자유로운 상태, 열려 있는 상태, 아무 목표도 갖고 있지 않음을 뜻합니다. 스님, 당신은 어쩌면 실제로 구도자일 수도 있겠군요. 목표에 급급한 나머지 바로 당신의 눈앞에 있는 많은 것을 보지 못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고빈다, 내가 얻은 생각들 중의 하나는 바로, 지혜라는 것은 남에게 전달될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이네. 지혜란 아무리 현인이 전달하더라도 일단 전달되면 언제나 바보 같은 소리로 들리는 법이야. (···)
지식은 전달할 수가 있지만, 그러나 지혜는 전달할 수가 없는 법이야. 우리는 지혜를 찾아낼 수 있으며, 지혜를 체험할 수 있으며, 지혜를 지니고 다닐 수도 있으며, 지혜로써 기적을 행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지혜를 말하고 가르칠 수는 없네.
'모든 진리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진리이다!'
'진리란 오직 일면적일 때에만 말로 나타낼 수 있으며, 말이라는 겉껍질로 덮어씌울 수가 있다.'
생각으로써 생각될 수 있고 말로써 말해질 수 있는 것, 그런 것은 모두 다 일면적이지. 모두 다 일면적이며, 모두 다 반쪽에 불과하며, 모두 다 전체성이나 완전성, 단일성이 결여되어 있지.
(···)
그러나 이 세계 자체, 우리 주위에 있으며 우리 내면에도 현존하는 것 그 자체는 결코 일면적인 것이 아니네. 한 인간이나 한 행위가 전적인 윤회나 전적인 열반인 경우란 결코 없으며, 한 인간이 온통 신성하거나 온통 죄악으로 가득 차 있는 경우란 결코 없네. 그런데도 그렇게 보이는 까닭은 우리가 시간을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기 때문이네. 시간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네. (···) 시간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현세와 영원 사이에, 번뇌와 행복 사이에, 선과 악 사이에 가로놓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간격이라는 것도 하나의 착각인 셈이지."
그분, 즉 자네의 그 위대한 스승의 경우에 비추어 보더라도 나에게는 말보다는 사물이 더 마음에 들며, 그분의 행위와 삶이 그분의 말씀보다 더 중요하며, 그분의 손짓이 그분의 사상들보다 더 중요해. 나는 그분의 위대성이 그분의 말씀, 그분의 사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행위, 그분의 삶에 있다고 생각해.
책 '싯다르타' 리뷰
싯다르타는 훌륭한 현인의 가르침으로부터 깨닫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직접 경험하고 사색을 해야 깨달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브라만 계급의 아들로 태어나, 출가하여 고빈다와 함께 고행길을 걷는다. 고빈다는 부처를 따라 제자가 되기로 하고, 싯다르타는 스스로 깨달음을 얻기 위해 자신만의 길을 떠나게 된다.
그는 세속적인 생활을 하면서 카말라를 만나 사랑을 하고, 장사를 하며 부에 사로잡히게 된다. 그리고는 스스로를 증오하게 되고 목숨을 끊으려고 하는 지경까지 간다. 그 순간 자신을 돌아보며 그는 깨달음을 얻고 덧없는 것에 대한 집착을 버리게 된다.
싯다르타는 그의 아들과 뱃사공 바주데바를 통해서도 깨달음을 얻는다. 어느 특정한 대단한 사람은 없으며 누구든 무엇이든 현인이자 깨달음을 줄 수 있는 것들이다. 강물을 통해서 그는 시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사물의 본질과 현재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는 또한 말로 전해질 수 있는 건 지식뿐, 지혜는 아무리 대단한 현인이라도 전달될 수 없다는 걸 깨닫는다. 싯다르타는 특정한 목표를 좇아 그곳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상태에서 직접 경험을 통해 배우고 깨달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싯다르타를 통해 경험, 사색, 본질에 초점을 맞추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 내가 가진 가치관이나 사상들이 하나에 꽂히면 다른 다양한 것들을 받아들이기 힘들며 깨달음을 얻기 힘들다. 인생 전체를 두고 봤을 때 한 가지 특정한 것에 좇기보다는 열려있는 상태로 경험을 하고 사색을 하는 과정에서 지혜를 찾아내는 삶을 살아가는 것을 싯다르타의 가르침을 통해 배운다.
책 '아몬드' 리뷰 - 저자 손원평
책 '아몬드' 리뷰 - 저자 손원평 책 '아몬드' 소개 프롤로그1부2부3부4부에필로그 아몬드영화와도 같은 강렬한 사건과 매혹적인 문체로 시선을 사로잡는 한국형 영 어덜트 소설 『아몬드』.
think.1prorich.com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흐르는 강물처럼' 리뷰 - 저자 셸리 리드 (4) | 2024.10.17 |
---|---|
책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서평 - 저자 룰루 밀러 (1) | 2024.10.06 |
책 '아몬드' 리뷰 - 저자 손원평 (0) | 2024.05.28 |
책 '채식주의자' 리뷰 - 저자 한강 장편소설 (0) | 2024.05.14 |
책 '생각 중독' 리뷰 - 저자 닉 트렌턴 (불안과 후회를 끊어내고 오늘을 사는 법) (0) | 2024.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