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
나이 30대 이상
퇴직을 앞둔 사람
새로운 것을 시작하기에는 늦었다고 생각하는 사람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
[책] '김미경의 마흔 수업' - 김미경
- 주요 내용
- 내가 만난 부자들은 모두 한 분야에서 30년 이상 일한 사람들이다. 이 말은 곧 그들 모두가 50대 이상이라는 뜻이다. 그들이 성공한 비결은 단 하나, 중간에 그만두지 않아서다.
- 마흔은 원래 완성되는 나이가 아니라 뭐든지 되다 마는 나이다. 과정의 나이지 결과의 나이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니 '마흔은 곧 안정'이라는 고정관념은 이제 버리자.
- 태어나서 20세까지는 유년기, 20대부터 40대까지의 30년을 첫 번째 꿈을 가지고 뛰는 '퍼스트 라이프 First Life', 50대부터 70대까지의 30년은 두 번째 꿈을 가지고 뛰는 '세컨드 라이프 Second Life', 그리고 80세부터 100세까지가 노후다.
- 월급이 반 토막 났을 때 자존감도 반 토막 났던 감정만 기억하고 있을 뿐이다. 나이 듦에 따른 변화를 감당할 수 있는 내공이 없으면 원망과 비참함 같은 얕은 감정이 우리를 집어 삼킨다. 그러니 자신의 미래를 계획할 수도 없다. 다가올 시간을 준비하려면 스스로에게 '나는 앞으로도 가능성 있는 사람', '지금보다 더 멋지게 세컨드 라이프를 살 사람'이라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 퍼스트 라이프를 살 때는 삶의 중요한 문제를 상의할 사람들이 많았다. 직장 동료, 친구, 지인들은 내가 어떤 선택을 내리면 좋을지 대답해 줄 수 있었다. 그러나 세컨드 라이프에서는 각자 살아가는 모습이 천차만별이라 조언을 기대하기 힘들다. 결국 물어볼 사람은 나밖에 없다.
- 비교의 함정이 있다. 남의 꼭대기만 보고 비교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자신의 바닥은 좀처럼 보여주지 않는다. 그래서 자기 바닥은 자기만 안다. 비교는 자신만 아는 바닥과 타인이 보여주는 꼭대기와의 대화다.
- 비교는 '상처의 힌트' 같은 것이다. 남이 살짝 던진 힌트를 가지고 나에게 상처를 입히는 사람은 바로 나 자신이다. 남이 주는 상처보다 내가 스스로 내는 상처가 더 아픈 법이다. 남이 준 상처 때문에 우울한 것이 아니라, 남이 던진 말을 받아 내가 나에게 반복하기 때문에 우울한 것이다.
- 스스로를 망치려고 우울증에 걸리는 것이 아니다. 세컨드 라이프부터는 정말 나답게 잘 살기 위해 요란한 소리를 내며 자신의 내면을 갈아엎는 중인 거다.
- 지금 우울감으로 사는 것이 힘겹다면, 그것은 내 멘탈이 약해서가 아니다. 지금 내 마음이 크는 중이고, 인생에서 너무나 중요한 질문을 하는 중이라고 믿자. 우울이라는 감정을 조금만 걷어내면 그 질문이 선명하게 보일 것이다. 지금 많이 우울하다는 것은 내 안에 잠재된 에너지가 그만큼 강력하다는 반증이다. '에너지의 방향만 돌릴 수 있다면 나는 무엇이든 해낼 수 있는 사람'이라고 믿어보자.
- 어떤 시련도 내가 스스로 해석하고 받아들이면 억울함과 분노, 원망 같은 감정들이 한결 가벼워진다. 그래서 나는 마음이 힘든 사람들에게 종교를 가져보라고 권한다. 내 인생의 의미를 해석해 줄 무언가가 있으면 그 자체만으로 안정감이 생긴다.
- 내 공간에 100권의 책이 있다면 100권만큼 생각이 커지고 1,000권의 책이 있다면 1,000권만큼의 세상이 내 것이 된다. 생각이 크고 세상이 넓어져야 비로소 새로운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아무 자극도 받지 않는 상황에서는 나를 위한 그 어떤 대안도 낼 수 없다.
- 새벽 기상을 괜히 '미라클 모닝 Miracle Morning'이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습관은 눈으로 보고 읽으면 아무것도 아닌 단어일 뿐이지만 몸으로 해내면 기적이 된다. 우리에게는 기적을 만들 수 있는 또 다른 내가 있다. 내 안의 또 다른 나를 끄집어낼 수 있는 유일한 열쇠는 오직 '꾸준함'뿐이다.
- 직장인들을 보면 한 가지 이외에는 전부 빠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획은 잘하는데 개발과 마케팅이 안 되고, 운영은 되는데 기획과 마케팅이 빠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들이 성급히 퇴사하면 큰일 난다.
회사 안에 있어도 문제인 건 장기적으로는 똑같다. 조직의 입장에서 부분적인 일만 하는 사람은 언제든지 대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독보적인 스페셜리스트가 아닌 한, 전체를 보는 시야와 타이밍을 놓치면 직장인의 가치는 갈수록 떨어진다. 전체를 볼 줄 아는 소수의 사람만이 최고경영자가 되거나 임원이 될 수 있다.
- 저자
- 김미경
- 출판
- 어웨이크북스
- 출판일
- 2023.02.15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리뷰 - 저자 강용수 (0) | 2024.03.26 |
---|---|
[책] '나는 4시간만 일한다' - 팀 페리스 (최소한만 일하고 원하는 대로 사는 법) (0) | 2023.05.24 |
[책] '웰씽킹' - 켈리 최 (부자가 되기 위한 생각) (0) | 2023.05.12 |
[책] '내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 - 비욘 나티코 린데블라드 (0) | 2023.05.10 |
[책] '우리, 편하게 말해요' (말 잘하는 법) (0) | 2023.02.24 |
댓글